fnctId=hsSub,fnctNo=111 2025 2023 2021 2020 2019 2017 2016 2015 2013 2011 교과목 보기 교과목 리스트 년도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영문) 이수구분 교과목 개요 2025 1 HP137 철학여행Ⅰ(Philosophical Excursion Ⅰ) 전공필수 구체적인 삶의 현장들을 방문하여 삶의 현장을 몸소 느끼고 그 안에서 철학함의 의미를 되새기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2025 1 HP141 서양고중세철학사(History of Greek and Medieval Philosophy) 전공필수 서양의 고대 희랍철학과 중세철학을 철학사적 맥락에서 파악하고, 중요한 철학자들의 사상을 탐구함으로써 그 시대 철학의 성격과 그것이 오늘날 갖는 의미를 동시에 파악하려고 한다. 2025 2 HP142 중국철학사(History of Chinese Philosophy) 전공선택 2025 1 HP147 비판적사고(Critical Thinking) 전공선택 본 과목은 사물과 기존 가치관을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정리하는 사유를 배양하며, 그러한 자신의 사유를 논리적 문장으로 작성하는 능력 배양을 목적으로 한다. 2025 1 HP150 철학개론(Introduction to Philosophy) 전공필수 ‘철학이 무엇인가’를 소개한다. 근본적이고 일반적인 철학적 문제들에 대해 생각한다. 이 문제들은 각각 형이상학, 인식론, 윤리학, 미학, 심리철학, 논리학 등의 철학의 분야를 구성하는 문제들이다. 2025 1 HP204 미학의기초(The Fundamentals of Aesthetics) 전공선택 2025 2 HP205 미디어철학(The Philosophy of Media ) 전공선택 기술문명이 구조화하고 정보혁명이 가속회됨으로써 현대 미디어의 발전과 진화가 인간생활의 양식과 사회구조에 끼치는 영향력도 급속히 증대하고 있다. 다양한 미디어의 본질과 발전 양태에 대한 철학적 조망이 삶과 사회, 역사에 대한 이해를 크게 확장시킬 것 이다. 2025 2 HP206 서양고대사상(Ancient Western Thought) 전공선택 2025 1 HP207 고전읽기Ⅰ(Reading Classics Ⅰ) 전공선택 동서양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 철학사상의 주요고전을 직접 읽어보는 강좌로서 사상가의 생각과 주장을 자신의 저술에서 확인하고 이해해보려는 것이다. 핵심적인 개념이나 주요 주장의 근거에 대해 분석하고 그 철학사적 의의와 영향을 논의한다. 2025 1 HP208 형이상학과인식론(Metaphysics and Epistemology) 전공선택 전통적 존재론에서 비판적 형이상학을 거쳐 현대의 존재론에 이르기까지 철학의 근본문제인 형이상학과 인식주체와 대상, 인식내용으로서의 진리의 문제를 다루는 인식론을 통합적으로 이해한다. 2025 2 HP209 실존주의(Existentialism) 전공선택 실존주의의 기본 강령은 ‘실존이 본질에 앞선다’는 것이다. 보편적 이성의 담지자로서 인간을 규정하기보다는 허무 앞에 서 있는 실존으로서의 인간을 탐구한다. 죽음, 권태, 불안, 몸, 욕망, 무의미 등 우리가 일상에서 구체적으로 체험하는 철학적 경험을 그 뿌리까지 해명함으로써 삶이야말로 ‘철학함’의 연속이라는 사실을 확인하게 된다. 2025 2 HP210 고전읽기Ⅱ(Reading Classics Ⅱ) 전공선택 동서양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 철학사상의 주요고전을 직접 읽어보는 강좌로서 사상가의 생각과 주장을 자신의 저술에서 확인하고 이해해보려는 것이다. 핵심적인 개념이나 주요 주장의 근거에 대해 분석하고 그 철학사적 의의와 영향을 논의한다. 2025 2 HP216 역사철학(Philosophy of History) 전공선택 인간의 삶을 개인의 차원과 집단의 차원에서 거대한 하나의 흐름으로 휩쓸고 가는 이른바 역사라는 것의 본질과 의미를 철학적으로 묻는다. 역사의 시작, 전개, 목표는 물론 역사를 추진하는 원동력이나 주체적이 힘, 그리고 역사에 어떤 법칙 같은 것이 있는지의 문제도 다룬다. 2025 1 HP221 서양근세철학사(History of Modern Western Philosophy) 전공선택 서양의 근세철학을 철학사적 맥락에서 파악하고, 그 안에 담긴 철학의 역사적 중심인물, 중심사상, 중심개념들을 추구함으로써 그 시대 철학의 성격과 그것이 오늘에 대해서 갖는 의미를 동시에 파악하려고 한다. 2025 2 HP223 한국철학사(History of Korean Philosophy) 전공필수 한국 철학사상의 기원을 시발점으로 하여 고대사상과 삼국, 고려시대의 불교철학과 조선조의 신유학사상을 다루는 과정, 아울러 천도교와 증산교 등의 민족종교에 나타난 철학사도 취급한다. 2025 2 HP246 언어철학(Philosophy of Language) 전공선택 영미 분석철학은 곧 언어 분석과 함께 시작했기 때문에 언어 철학은 특히 분석 철학의 전반기의 중요한 분야이다. Frege, Russell, Wittgenstein, Quine 등의 언어 분석 철학자들이 언어를 왜 철학의 중요한 주제로 부각시켰는지 언어 분석 작업을 통해 알아본다. 2025 1 HP287 철학여행Ⅱ(Philosophical Excursion Ⅱ) 전공필수 구체적인 삶의 현장들을 방문하여 삶의 현장을 몸소 느끼고 그 안에서 철학함의 의미를 되새기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2025 2 HP300 문화철학(Philosophy of Culture) 전공선택 인간을 다른 존재와 구분하는 결정적 잣대가 바로 문화를 창출하는 능력이다. 즉 인간은 문화 창조자와 향수자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규정해 온 것이다. 이 과목은 문화에 대한 이런 고전적 이해가 어떻게 변화하고 심화되어왔는지를 체계적으로 분석한 뒤, 근대 이후 지배적 현상으로 떠오르고 있는 대중문화의 흐름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시도한다. 2025 1 HP308 칸트와헤겔(Kant and Hegel) 전공선택 칸트에서 피히테, 셸링을 거쳐 헤겔에 이르는 독일관념론의 철학적 문제들과 주요 개념, 그 역사적 유산 등을 학습한다. 2025 1 HP309 과학과문화(Science and Culture) 전공선택 세계에 대한 객관적 지식을 제공한다고 알려진 과학의 본성에 대해 논의한다. 과학과 과학이 아닌 것을 구별하는 기준이 있는지, 과학적인 연구는 어떤 방법론에 따라 진행되는지 분석해본다. 나아가 과학적 지식은 누적되어 발전하는 것인지 아니면 혁명과도 같이 교체되는 것인지에 대해 논의한다. 또한 과학적 지식이 실재를 있는 그대로 반영하는 것인지에 대해 알아본다. 2025 1 HP310 예술비평(Art Critics) 전공선택 예술작품과 예술활동에 대한 철학적 이해를 위해 예술비평이론을 연구하고 예술장르별 작품들에 대한 구체적인 비평들을 검토한다. 2025 2 HP312 논리학(Logic) 전공선택 논증을 다루는 학문이다. 논증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과 더불어 명제논리, 술어논리(삼단논법 포함) 등의 연역추리를 공부한다. 2025 2 HP315 윤리학(Ethics) 전공선택 인간의 행동과 그 철학적 규범을 다루는 실천철학의 한 분야이다. 행동의 단위가 개체이냐, 전체이냐라는 문제가 있고, 행동의 규범이 본질적으로 어떤 것이냐 라는 문제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윤리규범이 개체와 전체, 본질과 경험, 시간과 공간의 변화 속에서 어떻게 그 합법적 정당성을 획득해 가는지를 다룬다. 2025 2 HP317 현대유럽철학(Contemporary European Philosophy) 전공선택 현대 유럽 철학의 흐름은 자연과학적 방법론에 입각한 실증주의와 이성의 전체주의적 지배에 대한 반격으로서 성립되었다. 대표적인 이론으로서는 현상학, 비판이론, 구조주의, 해석학, 해체주의를 들을 수 있는데, 이러한 철학은 세계를 실체로서 파악하는 관점을 비판하고 관계와 언어, 그리고 삶의 세계를 중시한다. 이 강의는 이러한 다양한 철학적 운동에 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2025 1 HP318 현대영미철학(Contemporary Anglo-American Philosophy) 전공선택 현대영미철학은 언어철학, 과학철학, 논리학 등을 중심으로 시작되나 그 이외에도 분석적 형이상학, 인식론, 윤리학, 미학 등 여타의 분야 논의들로 확장되고 있다. 이 강좌는 과학철학, 심리철학에서 미처 다루지 못했던 여러 분야의 현대 영미철학의 문제들을 선택하여 다룬다. 2025 2 HP327 노장사상(Taoism) 전공선택 노자와 장자의 사상을 일컫는 노장철학은 중국문명의 한 축인 도가의 사상을 다룬다. 유가와의 비교적 관점에서 이들의 중심문제를 다룬다. 2025 2 HP328 중국사상(Chinese Ideology) 전공선택 인도와 중국의 만남은 인류의 지성사에서 획기적인 사건이다. 본 과정은 인도 기축시대 사상의 한 형태인 불교가 중국에 들어와 흡수·변용되는 과정을 다룬다. 우리는 이 과정에서 문화적 “퓨전”의 형태를 목도한다. 2025 1 HP329 신화와예술(Myths and Art) 전공선택 예술이 신화로부터 어떤 영향을 받아 예술로 승화시키는지를 확인하고 신화를 소재로 한 예술작품들을 조사 검토한다. 2025 2 HP340 심리철학(Philosophy of Psychology) 전공선택 정신현상에 대한 철학적 탐구를 한다. 정신(마음)는 무엇일까? 그것은 물질과는 다른 어떤 것일까? 어떻게 마음은 물질인 몸과 인과관계를 맺는 것일까? 마음이 물질에 불과하다면, 인간의 존엄성과 자유는 어떻게 되는 것일까? 등의 물음들에 대하여 답하고자 한다. 2025 1 HP382 불교철학(Buddhist Philosophy) 전공선택 불교철학의 기본사상을 소개한다. 불교의 역사적 전개과정과 철학적 구조를 밝히고 그것을 현대적 관점에서 조명해 보려고 한다. 2025 1 HP406 철학적책읽기(Philosophical Reading) 전공선택 주로 철학고전을 중심으로 철학적 이론이나 사상을 엄밀하고 깊이 있게 독해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2025 1 HP407 사회정치철학(The Social and Political Philosophy) 전공선택 국가란 무엇인가를 비롯해, 정치적인 것의 개념, 공정성과 정의 등의 핵심적 주제를 다룬다. 정치공동체의 이상적 형태에 대한 고전적 탐구에서 시작해 그 공동체의 규범적 운영원리를 조명하고 개인과 공동체의 상호관계가 철학적으로 어떻게 규정될 수 있는지 분석한다. 정치와 정치 현상에 대한 규범론적 접근과 그 구체적 역사연관성을 함께 해명하는 과목이다. 한국의 정치현실에 대한 문제의식을 항상 동반하는 강좌이다. 2025 2 HP408 사랑학통론(Philosophy of Love)) 전공선택 사랑에 대한 철학적 탐구. 사랑의 종류와 본성을 이해하고 이와 관련된 감정과 욕망, 의지와 지향, 이념에 대한 연구를 통해 사랑의 의미와 윤리, 미학적 가치 등에 대해 논의한다. 2025 1 HP419 졸업논문(Thesis) 전공필수 2025 2 HP419 졸업논문(Thesis) 전공필수 2025 2 HP469 영화철학(Philosophy of Film ) 전공선택 영화는 현대예술의 한 정화이자, 가장 강력한 의미전달매체로서 자리를 굳혔다. 본 강의는 영화에 대한 철학적 독해작업이, 영화와 철학 모두의 지평을 확대시킨다는 전제에 입각해 영화문법에 대한 철학적 연구가 독자적 영화존재론과 영화가치론으로 발전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한다. 예컨대 영화존재론은, 서양형이상학의 전체 역사를 재서술하는 한 기획으로 정의될 수 있는 것이다. 2025 1 HP471 신화와사상(Myth and thought) 전공선택 체계적인 사유 이전의 여러 신화들을 배우고 해석하여 그 안에 감추어진 세계관을 이해하고 이후의 철학 사상들과 비교해본다. 2025 2 HP475 예술철학(Aesthetics) 전공선택 인간의 삶에 있어서 아름다움, 즉 미의 문제를 다루는 예술철학의 분야이다. 아름다움의 문제는 인간의 삶에 있어서 가장 높고 궁극적인 가치의 차원으로서, 이것에 도달하지 못하면 인간의 삶은 영원한 미완성의 차원에 머물러 있을 수밖에 없는 불가결의 것이다. 2025 1 HP496 논문작성법(Thesis writing) 전공필수 졸업논문 작성을 돕는 수업으로, 논문에대한 서식적 이해, 작성요령, 주제선정과 관련해 배워 졸업논문을 원활하게 작성할수 있게 함 2025 2 HP496 논문작성법(Thesis writing) 전공필수 졸업논문 작성을 돕는 수업으로, 논문에대한 서식적 이해, 작성요령, 주제선정과 관련해 배워 졸업논문을 원활하게 작성할수 있게 함 2025 1 HP507 문학철학(Literature Philosophy) 전공선택 문학사상을 철학적으로 조명한다. 고대 공무도하가에서 현대 문학에 이르기까지 주요 문학 작품을 철학적으로 분석한다. 2025 1 HP518 한국사상(korean thoughts) 전공선택 한국의 유가철학, 불교철학, 노장철학을 비롯하여 현대 한국철학까지 망라하는 교과이다. 한국철학의 특정 분야를 중점적으로 논의할 수도 있다. 2025 2 HP519 인도철학(Indian Philosophy) 전공선택 인도사상은 기축기 인류문명의 일원이면서, 동아시아 사상형성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이러한 인도사상의 원류를 다루는 본 강좌는 수많은 인도사상의 원류들이 기축시대의 사상으로 통합,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2025 1 HP520 IPP1(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1)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5 2 HP520 IPP1(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1)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5 1 HP521 IPP2(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2)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5 2 HP521 IPP2(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2)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5 1 HP522 IPP3(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3)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5 2 HP522 IPP3(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3)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5 1 HP523 IPP4(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4)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5 2 HP523 IPP4(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4)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5 1 HP524 IPP5(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5)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5 2 HP524 IPP5(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5)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5 1 HP525 게임과가상현실(Game and Virtual Reality) 전공선택 디지털 기술을 통해 게임과 가상현실이 주는 인간의 새로운 경험을 철학적으로 분석하고 이해한다. 현실과 가상, 가상세계의 자아와 타자, 사이버 사회의 구조, 경험과 상상력, 기술과 미래 사회 등을 주제로 한다. 2025 2 HP526 인공지능의철학(Philosophy of Artificial Intelligence) 전공선택 컴퓨터 기술의 발전과 함께 새로운 정보처리기술의 대안과 표준으로 자리잡은 인공지능에 대해 철학적으로 분석하고 이해한다. 기존의 정보기술이나 인간의 지능과 인공지능의 차이, 인공지능의 발전과 사회의 변화, 로봇이나 사이보그 등 새로운 존재자에 대한 이해와 윤리적 문제 등을 탐구한다. 2025 2 HP527 유학사상(Confucianism) 전공선택 고대와 근현대 유학사상을 철학사적으로 추적하여 사상의 변화와 발전을 이해한다. 담당부서 : 철학 전화번호 : 031-379-03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