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hsSub,fnctNo=127 2025 2023 2021 2019 2018 2017 2016 2015 2013 2011 교과목 보기 교과목 리스트 년도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영문) 이수구분 교과목 개요 2025 2 HN279 세계경제와중국경제개론() 전공선택 2025 2 HN281 동아시아사회개론(Introduction to East Asian Societies) 전공선택 주요 영역/제도와 이슈를 중심으로 동아시아의 사회 현상-배경-의미를 파악하고, 동아시아 사회 변화의 흐름과 방향성에 대해 살펴본다. 2025 2 HN282 현대동아시아인물탐구() 전공선택 현대 동아시아의 변화를 이끈 주요 인물들에 대한 탐구를 통해 이 지역 역사와 문화 그리고 정체성에 대한 이해를 제고한다. 2025 2 HN285 콘텐츠비즈니스중국어(Chinese for Content Business) 전공선택 콘텐츠 산업에서 활용되는 실무 중국어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과목이다. 콘텐츠 기획, 제작, 홍보 등 다양한 비즈니스 상황에서 필요한 중국어 표현을 학습하며, 콘텐츠 시장에 대한 이해와 함께 중국어를 실질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다. 2025 2 HN286 대만사회와문화(Taiwanese Society and Culture) 전공선택 대만의 독특한 사회 구조와 다양한 문화를 알아보는 수업이다. 대만의 역사, 전통, 현대 사회에서의 변화 등을 살펴보며, 대만이 가진 매력과 특색을 이해하게 된다. 대만의 생활 방식과 문화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배우고, 대만 사회에 대한 폭넓은 시각을 갖게 될 것이다. 2025 2 HN398 한중일부동산경제의이해(Real Estate Economy of Korea, China and Japan) 전공선택 -부동산 경제의 기초이론과 한국, 중국, 일본의 사례에 관한 강의와 토론을 진행함 -이를 통해 구체적 경제현실에 대응하는 경제인으로서의 능력을 배양함 2025 2 HN398 한중일부동산경제의이해(Real Estate Economy of Korea, China and Japan) 전공선택 -부동산 경제의 기초이론과 한국, 중국, 일본의 사례에 관한 강의와 토론을 진행함 -이를 통해 구체적 경제현실에 대응하는 경제인으로서의 능력을 배양함 2025 2 HN398 한중일부동산경제의이해(Real Estate Economy of Korea, China and Japan) 전공선택 -부동산 경제의 기초이론과 한국, 중국, 일본의 사례에 관한 강의와 토론을 진행함 -이를 통해 구체적 경제현실에 대응하는 경제인으로서의 능력을 배양함 2025 2 HN398 한중일부동산경제의이해(Real Estate Economy of Korea, China and Japan) 전공선택 -부동산 경제의 기초이론과 한국, 중국, 일본의 사례에 관한 강의와 토론을 진행함 -이를 통해 구체적 경제현실에 대응하는 경제인으로서의 능력을 배양함 2025 2 HN405 현장실무실습Ⅱ(Field Practice of Chinese StudiesⅡ) 전공선택 학문은 교실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현장성을 통한 생생한 경험과 더불어 병행되어야 한다. 4학년 1학기까지 7학기에 걸쳐 배운 중국학 연구의 이론과 방법론 등 글로벌한 전문지식과 비판적 실천능력을, 마지막 학기에 개설된 이 과목을 통해, 살아있는 사회적 조직 안에서 어떻게 적용하고 운용할지를, 예견될 수 있는 시행착오를 극복해가면서, 구체적이고도 실천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배운다. 2025 2 HN406 동남아와인도의이해(Understanding Southeast Asia and India) 전공선택 동남아시아와 인도는 북미와 동아시아에 필적하는 경제권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 지역은 미국과 중국의 대외전략이 전략이 중첩되면서 경제적·정치군사적으로 중요한 개념이 되었다. 본 강좌에서는 동남아시아와 인도를 포괄하는 지역 개념, 각국의 역사·문화, 정치·경제 등을 이해하도록 한다. 2025 2 HN407 경제통상이론과실무(Economic and Trade Theory and Practice) 전공필수 국가간·지역간 경제통상의 기초이론에 입각하여 수출자와 수입자 간의 계약 체결에서부터 물품 인도, 대금 결제, 그리고 사후 관리까지 다양한 단계에서의 지식과 절차에 대해 학습한다. 2025 2 HN410 동아시아전쟁과평화(War and Peace in East Asia) 전공선택 전쟁의 특성을 이론적으로 이해하고 전쟁과 갈등의 원인을 개인적 수준, 집단적 수준, 국가적 수준으로 분류하여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동아시아 평화를 위한 방법들을 논의한다. 2025 2 HN412 한중일음식콘텐츠산업(Food Content Industry in Korea, China, and Japan) 전공선택 한중일 3국의 음식이 어떻게 콘텐츠 산업으로 성장했는지, 그리고 각국의 음식 콘텐츠가 어떤 방식으로 세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학습한다. 다양한 음식 관련 콘텐츠 사례를 통해 한중일의 문화적 차이와 콘텐츠 전략을 재미있게 배우고, 음식이 문화와 산업으로 연결되는 방식을 배운다. 2025 2 HN413 한류와문화산업(Hallyu and Cultural Industry) 전공선택 K-팝, 드라마, 영화 등 다양한 한류 콘텐츠가 어떻게 만들어지고 전 세계로 확산되는지를 배우는 수업이다. 한류가 단순한 트렌드를 넘어 거대한 문화산업으로 발전한 과정과 그 성공 비결을 살펴본다. 2025 2 HN414 동아시아도시탐구(Cities in East Asia) 전공선택 세계적인 메가 시티로 성장한 동아시아 주요 도시에 대해 역사문화・사회 다이나믹스・경제력・대내외 위상 등 다방면으로 탐구함으로써 이들 도시가 이끌어온 동아시아의 발전상을 파악해본다. 2025 2 HN419 졸업논문(Thesis) 전공필수 2025 2 HN481 OJT1(OJT(on the job training)1) 전공선택 일학습병행은 산업현장의 실무형 인재육성을 위해 기업이 취업을 원하는 청년 등을 학습근로자로 채용하여, NCS(국가직무능력표준)기반의 체계적 교육훈련을 통하여 기업맞춤형 인재로 육성하는 제도입니다. 이에 참여하는 학생이 기업현장에서 기업현장교사(기업실무자)를 통해 현장 실무를 익히는 교육과정을 OJT(현장교육훈련)이라 합니다. 2025 2 HN487 미디어중국어2(Chinese for Media Ⅱ) 전공선택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해 중국어 실력을 높이는 수업이다. 신문 기사, 다큐멘터리, 영화 등 다양한 자료를 통해 심화된 중국어 표현과 사회적 이슈를 배운다. 이를 통해 중국어로 더욱 풍부한 대화를 나눌 수 있다. 2025 2 HN493 통상중국어2(Chinese for Trade Ⅱ) 전공선택 무역과 비즈니스 현장에서 필요한 중국어 표현을 배우는 수업이다. 간단한 비즈니스 대화와 관련 용어를 학습하며, 실무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중국어 표현을 익히게 된다. 중국어로 비즈니스 기본 표현을 배우면서 자연스럽게 실력을 쌓을 수 있다. 2025 2 HN602 중국현지연구및실습Ⅱ(Area Studies and Practice of China 2) 전공선택 2025 2 HN604 대만현지연구및실습Ⅱ(Area Studies and Practice of Taiwan 2) 전공선택 2025 2 HN605 IPP1(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1)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5 2 HN606 IPP2(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2)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5 2 HN607 IPP3(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3)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5 2 HN608 IPP4(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4)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5 2 HN609 IPP5(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5)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5 2 HN613 동아시아경제지리() 전공필수 2025 2 HN617 한중일문화교류사(History of Korea-China-Japan Cultural Exchange) 전공선택 한국, 중국, 일본 간의 역사적·문화적 교류를 학습한다. 삼국 간의 철학, 예술, 문학, 문화, 경제적 교류의 발전과 변천 과정을 다루며, 동아시아 문화권에서의 역사적 연대와 문화적 유대감을 이해한다. 2025 2 HN622 영화와현대동아시아(Movies and Contemporary East Asia) 전공선택 현대 동아시아를 이해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법 중에 여러 특장점을 가진 영화라는 매체를 택하여 다양한 관점과 확장된 세계관으로 현대 동아시아를 들여다보고 성찰해본다. 2025 2 HN624 동아시아와세계(East Asia and The World) 전공선택 정치경제적으로 세계와 동아시아에 대한 이론 및 개념적 이해를 바탕으로, 동아시아에 발생하고 있는 주요 사건에 대한 분석과 설명 능력을 제고한다. 담당부서 : 중국학 전화번호 : 031-379-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