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hsSub,fnctNo=126 2025 2023 2021 2019 2017 2016 2015 2013 2011 교과목 보기 교과목 리스트 년도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영문) 이수구분 교과목 개요 2025 2 EH104 경영학원론(Principles of Business Administration) 전공선택 경영학의 방법론과 기초개념 및 주요원리를 다룬다. 2025 2 EH106 글로벌비즈니스거시경제론() 전공선택 2025 2 EH244 국제무역통상영어Ⅱ(English for International Trade and Commerce Ⅱ) 전공선택 국제무역영어에 대한 실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무역현장에서 사용되는 영문으로 된 각종 무역서한과 계약서, 무역관련 서적, 국제규범 등의 내용을 배우며, 영문무역서한을 이해하고 자신의 의사를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2025 2 EH328 Business Presentation(Business Presentation) 전공선택 2025 2 EH420 OJT1(OJT(on the Job Training)1) 전공선택 일학습병행은 산업현장의 실무형 인재육성을 위해 기업이 취업을 원하는 청년 등을 학습근로자로 채용하여, NCS(국가직무능력표준)기반의 체계적 교육훈련을 통하여 기업맞춤형 인재로 육성하는 제도입니다. 이에 참여하는 학생이 기업현장에서 기업현장교사(기업실무자)를 통해 현장 실무를 익히는 교육과정을 OJT(현장교육훈련)이라 합니다. 2025 2 EH421 OJT2(OJT(on the Job Training)2) 전공선택 일학습병행은 산업현장의 실무형 인재육성을 위해 기업이 취업을 원하는 청년 등을 학습근로자로 채용하여, NCS(국가직무능력표준)기반의 체계적 교육훈련을 통하여 기업맞춤형 인재로 육성하는 제도입니다. 이에 참여하는 학생이 기업현장에서 기업현장교사(기업실무자)를 통해 현장 실무를 익히는 교육과정을 OJT(현장교육훈련)이라 합니다. 2025 2 EH505 IPP1(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1)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5 2 EH506 IPP2(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2)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5 2 EH507 IPP3(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3)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5 2 EH508 IPP4(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4)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5 2 EH509 IPP5(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5)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5 2 EJ204 사회적경제경영입문(Introduction to Social Economy & Management) 전공필수 최근에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비영리기업 및 협동조합의 국내외적 현상을 이해하고 이러한 기업조직의 경제원리와 경영원리가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기업과 어떻게 다른지를 학습한다. 2025 2 EJ205 사회적기업비즈니스모델(Social Enterprise Business Model) 전공필수 사회적 기업 및 소셜벤처가 창업 및 경영과정에서 당면하는 상황과 문제를 분석하며 사회적기업의 바람직한 경영방향 및 구체적인 실무에 대해 학습하는 한편, 비즈니스 모델과 창업과정을 실습한다. 2025 2 EJ207 사회적가치와기업가정신(Social Value and Entrepreneurship) 전공선택 대기업 및 공기업의 사회공헌활동, 사회책임비즈니스의 원리와 다양한 사례를 학습한다. 2025 2 EJ307 국제협력실천론(International Cooperation Practice) 전공선택 넓은 의미의 국제협력과 좁은 의미의 국제협력을 이해하고, 어떠한 국제협력단체가 있는지 또한 어떠한 활동을 하고 있는지 학습한다. 2025 2 EJ310 NGO사회적경제체험및실습(Field Study for Social Cooperation) 전공선택 2025 2 EJ344 국제개발협력사례연구(Case Stud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전공선택 2025 2 EJ355 국제협력인턴Ⅱ(Internship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Ⅱ) 전공선택 국제협력 관련 조직에서의 인턴경험을 통해 국제협력 현장을 보다 심층적으로 체험하고 취업으로서의 연계를 도모한다. 2025 2 EJ356 사회적경제세미나(Seminar on Social Economy) 전공선택 협동조합,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소셜벤처, 국제개발협력관련 소셜프로젝트 등에 대한 다양한 실천사례의 공통 원리를 이해하고 이러한 사례를 직접 조사하여 향후 조사를 담당한 학생들이 해당 기업으로 취업하거나 해당 분야로 창업하고자 하는 길을 도와주는 교과목임. 2025 2 EJ404 NGO사회적경제인턴Ⅱ(Internship for NGO and Social Enterprise 2) 전공선택 2025 2 EJ419 졸업논문(Thesis) 전공필수 2025 2 EK204 국제무역통상개론(Principle of International Trade and Commerce) 전공필수 무역통상학의 주요 연구대상 및 각 분야별 주요 이슈를 고찰하면서 무역통상학의 체계를 정립한다. 무역통상이론, 국제경영, 수출입절차 및 계약, 신용장, 운송, 보험, 외환, 무역통상정책, 무역통상 제도 및 환경 등 다양한 기초적인 내용들을 학습한다. 2025 2 EK301 전략경영(Strategic Management) 전공선택 경영정책의 학문적 특성과 이론적 체계를 기초로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환경 분석과 전략적 요인의 분석, 연결 그리고 경영전략의 개발을 공부한다. 2025 2 EK302 협상론(Negotiations) 전공선택 2025 2 EK303 재무관리(Financial Management) 전공선택 기업가치 극대화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재무예측과 투자결정, 효율적인 자금조달/운용에 관련된 이론 및 관리기법을 연구한다. 2025 2 EK304 국제재무관리(International Financial Management) 전공선택 국제재무관리의 전체적인 틀 및 환율제도의 종류, 운영방식과 장단점, 외환시장의 개념과 구조, 환율의 표기방법과 결정요인등 글로벌 경영에 필요한 재무관리의 지식을 배운다. 2025 2 EK306 글로벌마케팅론(Global Marketing) 전공선택 글로벌환경에서의 마케팅 개념과 방법론, 원리와 적용 사례에 대해 학습한다. 2025 2 EK313 글로벌경영현장실습Ⅱ(Seminar for Global Business Field Study 2) 전공선택 2025 2 EK348 아시아기업론(Case Studies of Asian Corporations and its CEOs) 전공선택 2025 2 EK352 비즈니스모델캡스톤디자인(Business Model Capstone Design) 전공선택 기업경영관련 및 비즈니스창업과정에서 당면하는 문제를 직접 발굴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아이디어 도출, 비즈니스모델 설계, 시제품 제작에 이르는 과정을 실습으로 수행함으로서 문제해결을 통한 창의력, 도전정신, 전문성, 소통역량을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함. 2025 2 EK354 다국적기업론(Management of Multinational Corporations) 전공선택 글로벌 시장에서 경영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글로벌기업을 이해하기 위한 과목으로, 다국적기업(MNC: Multinational Corporations)의 개념, 다국적기업의 경영환경, 전략 및 글로벌 경영관리에 관한 이슈들을 다룬다. 2025 2 EK403 글로벌비즈니스세미나(Global Business Seminar) 전공선택 글로벌 비즈니스에 관한 주요 논점들을 주제로 발표와 토론을 통한 심화학습의 기회를 갖는다. 2025 2 EK405 글로벌기업인턴Ⅱ(Internship for Global Business 2) 전공선택 2025 2 EK419 졸업논문(Thesis) 전공필수 담당부서 : 글로벌비즈니스학 전화번호 : 031-379-04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