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hsSub,fnctNo=122 2025 2023 2021 2019 2017 2015 2013 2011 교과목 보기 교과목 리스트 년도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영문) 이수구분 교과목 개요 2025 2 TS116 사회복지역사(History of Social Welfare) 전공선택 사회복지 제도를 역사적으로 이해하는데 필요한 기본지식을 익힌 뒤 시대별로 서구사회의 주요 국가들의 사회복지 발달과정을 살펴봄으로써 복지국가의 생성, 정착, 확장 및 위축의 과정을 정치, 사회, 경제적 맥락에서 분석한다. 아울러 우리나라 사회복지발달과정을서구사회와 비교함으로써 우리나라 사회복지발전에 대한 시사점을 찾는다. 2025 2 TS253 복지국가론(Welfare State) 전공선택 20세기에 이르러 구미 자본주의 사회에서 복지국가가 출현하게 된 역사적 배경과 복지국가에 대한 개념상의 문제, 그리고 복지국가의 병리현상과 재정위기에 관한 논쟁들을 정리 비교, 검토한다. 2025 2 TS260 자원봉사론(Theory and Skill on Volunteer Activities) 전공선택 자원봉사의 개념, 의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사회복지영역에서 자원봉사자로 활동할 수 있도록 공동체 의식을 강화하고 자원봉사실천 능력을 배양한다. 그리고 사회복지기관, 단체, 시설 등 현장에서의 직접적인 자원봉사활동경험을 통해 자원봉사자 활용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함으로써 자원봉사조정자로서의 자질을 갖추도록 한다. 2025 2 TS265 NGO와복지(NGO and Social Welfare) 전공선택 NGO는 사회발전을 위해 일하는 비정부기구로서 정부기구의 활동을 여러 측면에서 갈시, 비판하는 기능을 가지며, 동시에 사회복전을 위한 대안적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복지수준이 발전단계에 있는 현재의 우리사회에서 NGO들은 가족폭력과 성, 아동학대 등 다양한 영역에서 상담활동 및 정책 창출을 하고 있는바 대학 교과에 포함시켜 NGO의 개념, 복지영역에서의 기여 방법 등을 학습한다. 2025 2 TS270 산업복지론(Work and Welfare) 전공선택 노동연계복지, 일하는 빈곤, 일 가정 양립문제등 노동 문제가 점차 복지와 관련하여 전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 이 수업에서는 노동과복지의 관련성에 대한 이론들, 쟁점들을 다룬다. 2025 2 TS271 정신건강사회복지론(Social Work in Mental Health) 전공선택 정신보건영역에서의 사회사업활동을 통하여 정신질환자와 그 가족 및 공동체를 원조하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의 역할을 학습하고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 재활을 증진시키는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한다. 또한 다학제간 팀워크활동, 정신의학이론, 정신장애 판정 기준,지역사회정신건강 등에 대해서도 학습함으로서 정신보건 사회복지사로서의 자질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2025 2 TS272 학교사회복지론(School Social Work) 전공선택 이 교과목은 우리나라 학생들과 학교현장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학생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복지 실천방법으로서 학교사회사업의 철학, 개념, 모델, 실천대상과 실천방법, 제도 등 효과적인 실천을 위한 제반 지식을 학습한다. 아울러 실제 학교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학교사회사업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실천가능성을 타진해봄으로서 학교사회복지사의 전문적 실천능력을 배양한다. 2025 2 TS303 사회보장론(Studies in Social Security) 전공선택 사회보장의 개념, 발달과정, 제도와 운영들을 이론적으로 연구하고 한국의 사회보장 제도의 현황과 전망을 분석, 평가한다. 2025 2 TS357 사회운동과복지(Social Movement and Welfare) 전공선택 근대 시민사회의 형성과정은 자본주의적 모순의 전세계적 자기전개과정이었으며, 이 모순들은 그에 상응하는 사회운동을 불러 일으켰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자본주의사회론, 국가론, 제국주의론 등을 이론적 기초로 한 노동운동, 민족해방운동, 시민운동, 신사회운동 등 제반 사회운동들을 이론적으로 접근한다. 나아가 우리나라의 구체적인 역사에서 나타났던 사회운동론적 쟁점과 현재의 한국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현안 사회문제들을 사회운동 및 복지의 연관적 관점에서 다루어 본다. 2025 2 TS364 사회복지현장실습의이해Ⅱ(Introduction to Social Work Practice Ⅱ) 전공선택 사회복지 현장실습에 참여하는 학생들을 주 대상으로 하는 본 강좌는 사회복지실천분야를 이해하고 분야별 이론적 지식과 경험적 기술에 관해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사회복지 현장실습 교육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25 2 TS414 가족정책론(Family Policy) 전공선택 2025 2 TS419 졸업논문(Thesis) 전공필수 2025 2 TS458 청소년복지론(Youth Welfare) 전공선택 청소년 복지를 이해하기 위해서 청소년의 발달적 특성에 대한 이해, 청소년을 위한 사회적 서비스, 정책과 제도 등을 포괄적으로 다룬다. 이에 근거하여 청소년복지의 가치, 이론, 기술에 대한 균형을 유지하면서 한국의 청소년 복지분야의 사회복지사로서 전문적 실천 능력을 향상시킨다. 2025 2 TS461 여성복지론(Social Service for Women) 전공선택 여성복지의 의의와 여성적 관점에서 본 사회사업, 실천대상, 실천방법과 서비스분야를 이해한다. 여성복지영역을 고찰함과 아울러 한국의 여성복지분야의 사회복지사로서의 전문적 실천능력을 향상시킨다 2025 2 TS474 IPP1(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1)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5 2 TS475 IPP2(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2)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5 2 TS478 IPP5(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5)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5 2 TS479 국제사회복지론() 전공선택 2025 2 TS517 사회복지조사론(Research Methods for Social Welfare) 전공선택 사회복지 조사의 역사, 필요성, 조사방법, 설계 및 분석처리 등을 연구하여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사고능력을 기르는 동시에 사회복지의 이론과 실제에 연결되도록 한다. 2025 2 TS518 노인복지론(Social Service for the Elderly) 전공선택 현대사회에 있어서 노인의 신체적, 경제적, 의료적, 사회?심리적 제반 문제를 연구하고 노인복지와 관련된 제반 제도적, 정치적 대책방향과 서비스에 대한 전문적인 사회복지 개입방향을 모색한다. 2025 2 TS520 사회복지행정론(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전공선택 사회복지행정의 개념, 제도, 기구, 자원 등의 발전과 현황을 고찰하고 복지행정의 일반성과 특수성을 타 행정과 비교 연구한다. 2025 2 TS522 사회복지실천기술론(Skills and Techniques for Social Work Practice) 전공선택 개인과 가족, 집단의 사회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회복지사가 숙지해야 하는 다양한 실천 기술, 기법, 지침 등에 초점을 맞춘다. 특히 사례연구와 역할연습을 통해 실천기술, 기법, 지침을 실천 대상에게 적용하며, 실제에 개입하고 평가하는 연습을 강조한다. 2025 2 TS523 사회복지현장실습Ⅰ(Social Work Practice Ⅰ) 전공선택 직접 사회복지기관이나 관련기관에 나가 학교에서 배운 이론을 실습함으로써 사회복지 학문에 대한 깊이를 다진다. 2025 2 TS524 가족복지론(Social Work With Families) 전공선택 사회적 여건에 따라 변화하는 가족을 이해하기 위해 가족구조, 가족의 기능, 가족의 생활주기, 가족문제 등에 관해 학습하고 가족복지 정책과 서비스 현황 등에 관하여 고찰한다 그리고 가족의 문제에 대한 사정과 치료적 접근을 교육한다. 2025 2 TS525 사회복지제쟁점(Issues in Social Welfare) 전공선택 2025 2 TS528 장애인복지론(Social welfare for the disabled) 전공선택 이 과목은 사회복지분야의 한 영역으로서 장애인 복지에 관한 제반 요소들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통해 전문인으로서의 사회복지사의 능력(competencies)를 제고시키는 것에 기본적인 초점을 둔다. 이러한 목적하에서 본 과목에서는 장애인 복지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장애에 대해 접근하는 다양한 시각 및 장애인 복지의 이념과 가치에 대해 학습한다. 또한 새롭게 정리되고 있는 장애에 대한 정의 및 분류에 대해 학습하고 장애에 대한 생애주기에 따른 특성, 유형에 따른 특성, 정도에 따른 특성에 대해서 학습한다. 아울러서 장애인 실태 및 장애인 복지 관련 법들과 정책 현황에 대해서도 학습한다. 그리고 장애인 복지 관련 이론 및 생애 주기별 프로그램과 서비스 영역별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을 통해 이론과 프로그램의 연계 현황 및 과제를 학습한다. 마지막으로 장애인 복지 발전을 위한 방향과 방안들을 논하면서 장애인복지를 위한 사회복지사의 실천 내용과 방법에 대한 학습을 통해 사회복지사의 실천능력 제고를 도모해본다. 담당부서 : 사회복지학 전화번호 : 031-379-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