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hsSub,fnctNo=120 2025 2023 2021 2019 2017 2016 2015 2013 2011 교과목 보기 교과목 리스트 년도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영문) 이수구분 교과목 개요 2025 2 HS214 사회조사방법Ⅰ(Studies Ⅰ in Social Surveys) 전공선택 사회구조의 특성과 인간행위의 본질에 대한 이해는 과학적인 방법에 의해 수집되는 객관적인 자료를 필요로 한다. 이 과목은 사회현상에 대한 경험적 연구를 위해 필요한 이론적?방법론적 가정들을 검토하고 구체적인 자료의 수집, 분석, 검증에 관한 지식을 다룬다. 이에 덧붙여 사회조사를 수행함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제반사항을 논의하고 사회조사의 각 단계마다 나타날 수 있는 오차를 최대한으로 줄여서 완벽한 조사를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2025 2 HS220 한국사회문제의식(Social problem in Korea) 전공선택 급속한 자본주의화와 사회변동에 따라 수많은 사회문제를 안고 있는 한국사회를 연구한다. 사회문제를 개인의 차원이 아니라 사회구조적 문제로 인식하는 능력을 기르고 빈곤, 재벌, 여성, 노동, 부패, 복지, 환경, 통일, 교육, 청소년 등 다양한 사회문제에 대한 지적 감수성을 계발한다. 또 사회문제를 주체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실천적인 정책대안에 고민한다. 2025 2 HS221 사회계층과불평등(Social Stratification) 전공선택 고전사회학 이론에서부터 현대의 논의에 이르기까지 사회계층 및 계급, 사회이동에 관한 논의들을 살펴보고 한국사회에 대한 사회계급?계층론적 분석도 시도한다. 사회불평등의 문제를 구조적인 시각에서 분석하여 사회불평등에 대한 사회경제적?역사적 근원을 파헤치며 향후 불평등구조의 변동가능성을 탐색한다. 2025 2 HS234 시민사회운동실습(Research of Civic Social Movement) 전공선택 다양한 사회운동단체들을 집단적으로 견학하거나, 무강의 수업의 경우에는 개인적으로 인턴간사 등의 활동을 함으로써 현존하는 시민사회운동단체들과 구체적인 시민사회를 경험적으로 이해한다. 2025 2 HS238 근대사속의한국사회(Modern Korean Society before Emancipation) 전공선택 근대사속의 한국사회는 해방 이전 근대 한국사회를 탐구하는 과목으로서 구한말부터 일제 강점기 시기의 한국사회를 현대와의 역사적 연관성 속에서 역사적 쟁점이나 사건 중심으로 다룬다. 일제 강점기의 사회경제적 구조, 독립운동 등 제반 사회운동, 정치적 지배구조 등이나 다양한 정치적, 경제적 사건들의 배경 및 영향 등을 다룬다. 2025 2 HS240 사회연구실습Ⅰ(Research of Society Ⅰ) 전공필수 한국 사회에 대한 구체적 경험적 연구와 자율적인 학회 활동, 그리고 학과 전체의 워크샵 등이 결합되어 시행되는 연계과목으로, 사회학과 소속의 학생들이 2-3학년에 걸쳐 수강한다. 2025 2 HS241 사회연구실습Ⅱ(Research of Society Ⅱ) 전공필수 한국 사회에 대한 구체적 경험적 연구와 자율적인 학회 활동, 그리고 학과 전체의 워크샵 등이 결합되어 시행되는 연계과목으로, 사회학과 소속의 학생들이 2-3학년에 걸쳐 수강한다. 2025 2 HS312 집합행동과사회운동(Collective Behavior and Social Movement) 전공선택 집단의 구조변화, 통합과정, 집단의 구성 및 변천과정에서 생기는 문제점을 이론적으로 분석할 뿐 아니라 경험세계에서 집단의 결정과 집단행동에 영향을 주는 메카니즘을 분석한다. 또한 노동운동, 환경운동, 여성운동 등의 사회운동이 우리 사회의 변동과 관련하여 어떤 가능성과 함의를 내포하고 있는지 검토한다. 2025 2 HS317 역사와사회학(Historical Sociology) 전공선택 특징기술적인 역사학과 법칙정립적인 사회학의 통합으로서의 역사사회학은 실증주의 과학관의 보편주의에 대한 비판적 시각으로서 대두하여 현대 사회학이론에서 중요한 방법론적 지향으로서 자리매김을 하고 있다. 사회현상의 설명에 있어서 역사구조적인 요인을 가장 중요한 변수로 설정하는 등 역사학과 사회학의 접목을 통하여 사회현상의 설명력을 높히려는 시도를 한다. 2025 2 HS334 북한사회의이해(Understanding of North Korea Society) 전공선택 북한사회에 대한 연구방법의 정립을 시도한다. 또한 북한사회의 정치경제체제, 역사, 문화, 사회불평등구조 등에 대한 사회학적 분석을 시도한다. 북한사회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구체적인 통일사례들을 검토함으로써 앞으로의 남북한 통일방안을 모색한다. 2025 2 HS337 노사관계와노동운동(Industrial relations and labour movement) 전공선택 자본주의 사회에서 발생하는 계급적 대립과 갈등의 구체적인 양상을 탐구한다. 작업장과 기업내의 노사관계는 물론 거시적인 계급정치와 노동정치를 산업?조직사회학과 정치사회학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또 한국사회의 노사관계, 노동운동과 노동자계급 정치세력화의 문제를 구체적인 수준에서 고민해본다. 2025 2 HS338 현대사회학이론의이해(Understanding of Contemporary Sociological Theories) 전공선택 서구에서 2차 대전 이후 형성되었던 현대 사회학 이론들 – 기능론, 갈등론, 교환이론, 상호작용론, 체계이론, 행위이론, 비판이론- 들을 탐구함으로써 사회의 미시구조와 거시구조를 유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이론틀을 이해한다. 각각의 이론적 조류들이 형성되었던 사회적·이론적 배경을 분석하는 한편, 그러한 이론적 흐름과 논쟁을 관통하는 쟁점을 추출함으로써 오늘날 우리사회에 걸맞는 사회학 이론에 대한 인식의 지평을 넓힌다. 2025 2 HS343 결혼사랑가족제도(Marriage, Love, & Family) 전공선택 전통사회에서 산업사회로 이행함에 따라 가족이 그 구성, 기능, 위치 및 다론 사회제도와의 관계 등의 측면에서 어떠한 변화를 겪었는가를 역사적으로 고찰하고 사회화론, 페미니즘적 시각, 정신분석학적 관점, 국가론, 계급론 등의 이론적 조망을 통해 가족의 모습을 다각적으로 살펴본다. 또한 한국사회의 산업화와 도시화에 따른 사회구조의 변화속에서 한국가족을 조명해 봄으로써 한국가족의 현재와 미래에 대해 탐색한다. 2025 2 HS362 민주화와정치변동(Democratization and Political Change) 전공선택 민주주의의 정의, 유형, 모델, 수준 등을 이론적, 역사적으로 탐구하고 선, 후진국의 민주화 이행과정을 이행시대와 초국적 정치구조, 그리고 이행인과유형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나아가 이른바 ‘후기민주주의사회’의 민주주의의 양태와 특질을 비교하여, 민주주의의 미래를 예측해보는 수업이다. 2025 2 HS363 사회학길잡이2(Introduction to Sociology 2) 전공선택 사회학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찾아가는 과목이다. 사회학적 시각의 기원에서부터 시작하여 다양한 사회현상 –문화, 경제와 노사관계, 계층과 불평등, 가족과 여성, 사회운동과 사회변동, 국가와 정치 등 –을 이해할 수 있는 이론과 방법을 가리친다. 2025 2 HS364 사회학특강(Topics in Sociology) 전공선택 기존의 사회학과 교과과정에 포괄하지 못한 중요한 사회학적 논제를 선택하여 집중적으로 소개, 검토, 분석한다. 2025 2 HS367 합리성과합리적행위탐구(A Quest for Rationality and Rational Behavior) 전공선택 나날이 심화되는 사회적 합리화의 결과, 사람들은 전보다 더 합리적으로 행동하고 있다. 따라서 합리성은 인간 행동의 광범위한 영역을 경험적으로 설명하는데 유용하다. 또한 누군가를 비합리적이라고 말하는 것이 비난이라는 사실에서 알 수 있듯이, 사람들은 모두 합리적이기를 원한다. 그런 의미에서 합리성과 합리적 행위에 대한 탐구는 규범적-처방적인 면에서도 유용하다.이 강좌는 합리성과 더불어 합리성의 한계와 제약요인 및 비합리적이거나 무합리적인 행위 영역들에 대해 다룸으로써 합리성 전반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25 2 HS419 졸업논문(Thesis) 전공필수 사회학이론과 사회학방법론을 토대로 하여 구체적인 사회학적 분석에 들어가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과목은 사회조사방법 I, II를 수강한 학생만이 수강할 수 있다. 담당교수의 지도하에 수강학생들은 직접 연구보고서를 작성하여 스스로 독립적인 사회학적 연구를 할 수 있는 능력과 소양을 함양한다. 이 과목에서 쓴 보고서를 발전시켜 졸업논문으로 제출할 수도 있다. 담당부서 : 사회학 전화번호 : 031-379-05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