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hsSub,fnctNo=119 2025 2023 2021 2019 2017 2016 2015 2013 2011 교과목 보기 교과목 리스트 년도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영문) 이수구분 교과목 개요 2025 1 EE231 계량경제학(Econometrics) 전공선택 통계적 추론방법을 이용해서 경제이론의 현실적합성을 검증하는 분석방법을 다룸. 2025 2 EE235 정치경제학(Political Economy) 전공선택 자본주의 경제의 기본원리와 그 현대적 특징을 분석 2025 1 EE236 한국경제사(Economic History of Korea) 전공선택 한국경제의 역사를 분석 2025 2 EE237 근대경제사(Modern Economic History) 전공선택 산업혁명에서 전후 자본주의 황금기까지 각국의 경제변화를 분석 2025 1 EE238 소득분배론(Theory of Income Distribution) 전공선택 분배정의, 사회불평등에 대한 경제학적 분석 2025 1 EE254 경제사(Economic History) 전공선택 인류 경제생활의 흐름과 변화과정을 다룸 2025 2 EE331 화폐금융론(Money and Banking) 전공선택 금융, 재정에 관한 이론과 정책을 분석 2025 1 EE333 노동경제학(Labour Economics) 전공선택 노동문제 및 노사관계, 노동조합에 관한 경제학적 분석 2025 2 EE337 경제학설사(History of Economic Doctrines) 전공선택 경제학설의 역사와 쟁점, 주요 경제학자들의 사상을 다룸 2025 1 EE339 재정학(Public Finance) 전공선택 2025 2 EE340 현대자본주의론(Analysis of Modern Capitalism) 전공선택 이차대전 이후 현대 자본주의 사회의 경제적 특징을 분석 2025 1 EE364 경제변동론(Theory of Economic Crises) 전공선택 경제변동의 원인과 흐름, 대책 등을 다룸 2025 1 EE366 미시경제학(Micro Economics) 전공필수 경제학원론1을 뒤이어서 미시경제학을 보다 깊게 다룸 2025 1 EE379 게임이론(Game Theory) 전공선택 게임이론은 인간의 상호작용을 게임의 틀에서 바라보는 이론이다. 경제학에서 발전되어 모든 사회과학과 자연과학에까지 응용되고 있으며, 경제학 분야 중에서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를 가장 많이 배출한 분야이다. 이 과목은 게임이론의 기초를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 함. 2025 2 EE382 조세경제학(Economics of Taxation) 전공선택 우리나라의 조세 체계를 살펴보고 전체적인 조세 제도를 이해하는 능력을 키운다. 조세 제도의 역사를 학습하고, 공정한 조세, 효율적인 조세에 대한 이론을 학습한다. 조세와 관련된 정치경제학 및 제도경제학적 이론을 학습하고, 선진국의 사례를 통하여 복지 국가 형성에서 조세의 역할에 대한 안목을 키운다. 우리나라 조세 제도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조세 개혁의 필요성과 조세 개혁 방향에 대한 민주시민으로서의 관점을 형성한다. 2025 1 EE440 경제학세미나(Economic Seminar) 전공선택 경제학의 특정 주제를 집중적으로 연구 2025 2 EE441 경제학특강(Special Topics in Economics) 전공선택 2025 2 EE443 노사관계와노동조합(Industrial Relation & Trade Union) 전공선택 노동문제 및 노사관계, 노동조합에 관한 경제학적 분석 2025 1 EF200 경제통합과세계화(Economic Integration and Globalization) 전공선택 다자주의(WTO)와 지역주의(FTA)를 통해 국가간 무역장벽을 완화함으로써 각국의 경제적 상호작용이 증가하고 밀접하게 연결되는 세계화 과정을 이해한다. 이를 위하여 경제통합의 원인과 효과 그리고 현존하는 국제기구와 지역경제협력체 등을 학습한다. 2025 1 EF201 경제금융수학길잡이(Introduction to Mathematics for Economics and Finance) 전공필수 경제학을 공부하는 데 필요한 수학을 공부하는 과목이다. 금융을 포함한 경제학은 수학적 기법을 도입하여 엄밀하면서도 간결하게 그 논리를 표현하도록 진화하였으며 이에 따라 경제학 공부에서 수학의 중요성은 상당하다. 따라서 경제금융학과의 저학년 동안 이 과목을 수강하면 이후 본격적인 경제학 공부에 쉽게 다가설 수 있다. 벡터와 행렬, 다변수함수의 미분법, 최적화 이론 등을 배운다. 2025 1 EF202 화폐금융의정치경제학( Political Economy of Money & Finance) 전공선택 표준적인 금융경제학의 기본이론을 비교자본주의론이나 제도주의 정치경제학적 접근으로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또한 본 과목은 화폐금융 영역에서 정치적 내지 국제정치적 역학관계가 어떻게 구조화되어 있는지를 쉽게 설명한다.결정적으로는 금융화 시대의 국가에서 금융서비스,금융산업,금융자본,그리고 금융권력이 어떤 정치경제적 의미를 갖는지 생각해 보고자 한다. 2025 2 EF203 기초통계학(Introduction to Statistics for Economics) 전공필수 통계학의 기본이론 및 통계 프로그램(R)을 소개한다. R은 통계분석을 위한 컴퓨터 언어로 시작되었지만, 지금은 통계분석을 넘어서서 빅 데이터 분석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엑셀로 간단하게 자료를 처리하는 것을 학습하고, 엑셀자료를 R에서 불러와서 데이터 프레임으로 만들어 분석하는 방법, 데이터를 분석하고 빈도를 산출하고 그래프를 그리는 등 통계학의 기초 내용을 학습한다. 2025 2 EF300 외환결제론(Foreign Exchange and Payment) 전공선택 국제결제의 통화인 외환과 환율의 이해를 위하여 외환시장의 작동 원리, 환율결정이론, 환율제도 등을 학습하고 나아가 국제결제 메커니즘에 대해 소개한다. 2025 1 EF301 국제운송론(International Transportation) 전공선택 국제상거래에서 물품 인도를 위한 국제운송 이론과 실무 지식을 습득한다. 해상운송을 중심으로 항공·육상·복합운송 등 다양한 운송수단의 이해와 운송계약을 통한 당사자의 권리·의무 등 국제운송을 위한 실무적 제반 절차 및 그에 적용되는 국제운송법규 등을 학습한다. 2025 1 EF302 제도경제학(Institutional Economics) 전공선택 제도경제학은 진화론적 관점에서 경제 현상을 설명하는 경제학의 한 분야이다. 인간의 경제행위를 특정한 사회적, 문화적 배경과 관련하여 접근하며, 인간의 지식, 제한된 합리성, 진화에 주목하여 경제제도와 경제변화를 설명한다. 2025 2 EF303 응용계량경제학(Econometrics) 전공선택 계량경제학의 후속 과목으로서 수리경제학과 통계학의 이론을 응용하여 경제현상을 실증 분석하는 데 필요한 추정과 검정 이론을 소개한다. 다중회귀모형, 도구변수 추정, 이항반응모형, 표본선택, 시계열모형 등 다양한 계량경제 모형을 다룬다. 이론은 간략히 소개하고 R을 이용한 실습과 해석을 중심으로 학습한다. 실제 경제 자료를 이용하여 경제이론에 기초한 가설 설정, 회귀분석 및 결과 해석 등의 과정을 실습한다. 2025 1 EF409 졸업논문(Thesis) 전공필수 2025 2 EF409 졸업논문(Thesis) 전공필수 2025 1 EF500 OJT1(OJT1 (On the Job Training 1)) 전공선택 일학습병행은 산업현장의 실무형 인재육성을 위해 기업이 취업을 원하는 청년 등을 학습근로자로 채용하여, NCS(국가직무능력표준)기반의 체계적 교육훈련을 통하여 기업맞춤형 인재로 육성하는 제도입니다. 이에 참여하는 학생이 기업현장에서 기업현장교사(기업실무자)를 통해 현장 실무를 익히는 교육과정을 OJT(현장교육훈련)이라 합니다. 2025 2 EF500 OJT1(OJT1 (On the Job Training 1)) 전공선택 일학습병행은 산업현장의 실무형 인재육성을 위해 기업이 취업을 원하는 청년 등을 학습근로자로 채용하여, NCS(국가직무능력표준)기반의 체계적 교육훈련을 통하여 기업맞춤형 인재로 육성하는 제도입니다. 이에 참여하는 학생이 기업현장에서 기업현장교사(기업실무자)를 통해 현장 실무를 익히는 교육과정을 OJT(현장교육훈련)이라 합니다. 2025 1 EF501 OJT2(OJT2 (On the Job Training 2)) 전공선택 일학습병행은 산업현장의 실무형 인재육성을 위해 기업이 취업을 원하는 청년 등을 학습근로자로 채용하여, NCS(국가직무능력표준)기반의 체계적 교육훈련을 통하여 기업맞춤형 인재로 육성하는 제도입니다. 이에 참여하는 학생이 기업현장에서 기업현장교사(기업실무자)를 통해 현장 실무를 익히는 교육과정을 OJT(현장교육훈련)이라 합니다. 2025 2 EF501 OJT2(OJT2 (On the Job Training 2)) 전공선택 일학습병행은 산업현장의 실무형 인재육성을 위해 기업이 취업을 원하는 청년 등을 학습근로자로 채용하여, NCS(국가직무능력표준)기반의 체계적 교육훈련을 통하여 기업맞춤형 인재로 육성하는 제도입니다. 이에 참여하는 학생이 기업현장에서 기업현장교사(기업실무자)를 통해 현장 실무를 익히는 교육과정을 OJT(현장교육훈련)이라 합니다. 2025 1 EF502 IPP1(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1)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5 2 EF502 IPP1(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1)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5 1 EF503 IPP3(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3)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5 2 EF503 IPP3(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3)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5 1 EF505 IPP5(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5)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5 2 EF505 IPP5(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5)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5 1 EF506 IPP2(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2)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5 2 EF506 IPP2(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2)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담당부서 : 경제학 전화번호 : 031-379-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