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hsSub,fnctNo=118 2025 2023 2021 교과목 보기 교과목 리스트 년도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영문) 이수구분 교과목 개요 2025 2 HI119 글로벌사회의이해(Understanding of the global society) 전공선택 본 과목은 1학년 기초과목으로 앞으로 234학년 동안 국제관계 심화과목에서 다룰 기초 세계정치의 역사적 전개를 살펴본다. 동, 서양 내 주요 문명의 정치사를 공부하며 내적 맥락과 외적 의미에 대해 이해한다. 2025 2 HI207 법과정치(Law and Politics) 전공선택 법의 지배의 개념사와 법치를 둘러싼 쟁점들을 고대에서 현대까지 조망해본다. 특히 자유주의 시대 법의 지배와 민주주의 간의 갈등적 관계를 이론적으로 살펴본다. 아울러 현대 사회에서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등의 법치를 둘러싼 쟁점들을 학습한다. 2025 2 HI401 국제사회의미래(The Future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전공선택 이 과목은 미래학관점에서 글로벌 사회의 미래를 전망하며,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는 인류의 미래에 대해 공부하고 토론하면서 넓은 시야를 갖도록 유도함. 2025 2 HI409 세계지역의개발과평화이슈(World Development and Peace Issues) 전공선택 지난세기말부터 시작된 세계화는 세계각지에서 환경·문화·정치·경제적으로 영향을 끼치고 있다. 세계화는 한편으로는 세계를 보편적인 단일 질서로 편성하면서도, 각지의 지리적 특성들과 결합하여 지역별로 독특한 개발과 평화의 이슈들을 부각시키고 있다. 본 수업에서는 이러한 이슈들의 현황을 살펴보고, 대안과 해결책을 고민하는 능력을 키우고자 한다. 2025 2 HI429 국제정치와경제학(International Political and Economy) 전공선택 IMF의 경우에서 보여주는 바와 마찬가지로 세계의 정치적 힘과 경제적 힘은 밀접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 과목은 이러한 상호관계를 중심으로 현실을 움직이고 있는 힘의 논리를 분석한다. 2025 2 HI430 신세계질서론(New world order) 전공선택 현대 대의제 민주주의에서 정당의 이론과 실재, 그리고 선거의 이론과 실재를 학습한다. 아울러 주요 정당을 방문하여 현장학습하여 현실정치에 대한 감각을 익힌다. 2025 2 HI432 동서양사유의비교(Comparison of Eastern and Western Thought) 전공필수 본 수업은 글로벌 시대를 살아갈 학생들에게 동서양의 사고방식의 차이를 이해함으로써 균형 있고 폭넓은 국제적 사고방식, 감각, 시야를 갖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동양인과 서양인은 지각, 인식, 철학, 인생관등에서 서로 다른 사고체계를 가지고 살아왔다. 이러한 차이는 국제관계 뿐만이 아니라 국제비즈니스, 국제협상 등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을 올바로 이해하고 대처하는 것은 국제사회에 진출을 준비하는 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조건이 되고 있다. 본 수업은 ‘국제사회의 이문화 관리’ 수업을 위한 기초 단계로서 동 서양의 사고 체계에 대한 큰 흐름을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2025 2 HI435 미국사회와인권법(American Society and Human Rights Law) 전공선택 이 과목은 미국사회의 인권 문제를 미국 연방대법원의 판례를 중심으로 공부한다. 사상 및 표현의 자유를 비롯해 최근 소수자의 인권 문제에 이르기까지 현대 미국민주주의를 지탱해온 주요 쟁점에 대한 논쟁과 더불어 연방대법원의 판례를 살펴봄으로써 우리사회 인권의 현주소를 성찰함이 주요 목적이다. 2025 2 HI437 정치심리학(Psychology of Politics) 전공선택 정치 행동에 대한 법칙을 연구하는 것으로, 정치과정과 심리과정의 상호관계를 통일적으로 다루는 사회과학의 한 영역이다. 각종 정치과정이 개인행동의 내적 메커니즘과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가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 정치심리학의 주요 목표가 된다. 즉 이것은 모든 정치 현상을 심리학적 관점에서 해명하고자 하는 과학으로 사회심리학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정치심리학은 정치적 태도와 투표행동을 집중적으로 연구한다. 2025 2 HI442 민주주의이론과현실(Theories on Democracy and reality) 전공선택 민주주의는 오늘날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정치체제의 하나로 지속되고 있다. 이 과목은 민주주의 정치제도와 그 실제의 기본틀을 소개한다. 민주주의의 일반이론에서 이를 제도로 구체화 하는 권력구조와 정치과정의 주요한 구성요소에 대해 논의하고 검토한다. 2025 2 HI448 한반도통합문제세미나(Seminar on The Reunification of Korea) 전공선택 변화하는 국제정세와 21세기적 당위로 강제되어지는 남북한 관계정립의 현안들 속에서 올바른 남북한 관계의 상을 정립하는 데 그 주요한 목적이 있다. 2025 2 HI449 유럽정치의이해(Understanding of European Politics) 전공선택 유럽정치의 특징을 이해함으로 현대정치의 다양성을 이해한다. 특히, 유럽 각국의 정치구조 및 정치정책이 한국정치에 시사하는 바를 연구한다. 2025 2 HI450 국제문화비교(International cultural comparison) 전공선택 이 과목은 글로벌 사회의 문화와 미래를 전망하며,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는 인류의 미래에 대해 공부하고 토론하면서 넓은 시야를 갖도록 유도함. 2025 2 HI451 정치커뮤니케이션(Political and cultural communication) 전공선택 본 강좌는 선거에 있어서 전략수립과 기획, 홍보, 이벤트, 여론조사분석 등에 대한 전문적인 컨설팅 방법과 기술을 습득하고 중앙정치나 지방정치영역의 일상적인 정치활동에 있어서 정치행위자(political actor)에게 정책수립 등에 필요한 정보나 지식을 제공하고 컨설팅하기위한 기본능력을 기르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2025 2 HI453 국제금융의이해(An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finance) 전공선택 본 강좌는 주요국의 통화정책과 환율 변화가 국내 경제 및 세계경제에 미치는 역할과 기능을 학습한다. 구체적으로는 1)국제금융 거버넌스, 2)국제금융시장 동향 및 주요 이슈(기축통화, 위안화 국제화 등), 3)외환위기 메커니즘, 4)환율, 금리, 주가의 관계, 5)국제수지 및 국가간 자본이동, 6)주요국의 금융정책이 국내시장에 미치는 영향, 7)주요국의 전통적ㆍ비전통적 금융정책(QE, QQE, 제로금리 등)의 이해 및 효과의 파급경로 등을 통해 국제금융의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국제금융의 관점에서 분석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한다. 2025 2 HI455 국제통상론(International Trade Theory and Policy) 전공선택 국제통상론은 글로벌 경제 환경의 변화와 무역 트렌드에 대응하기 위해 국제기구, 무역 정책, 협정의 역할과 영향을 분석한다. 또한 다학문적 접근을 통해 지속 가능한 발전, 디지털 무역 혁신 등 현대 무역의 주요 이슈를 탐구하며, 국제 경쟁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한다. 2025 2 HI456 공공정책선택론(Policy Decision Making in Public Area) 전공선택 본 과목은 공공 영역에서의 정책결정은 단순히 시장주의 이론인 공급과 수요, 최대 이익의 면에서 이루어지지 않고 다양한 방면을 검토하여 진행한다. 그렇기에 이 수업은 공공영역에서의 정책결정과 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 알아보고자 한다. 2025 2 HI459 한류속의국제정치(International Relations in Korean Wave ) 전공선택 국제관계의 관점에서 한류의 이상과 현실을 분석하고 젊은 세대가 향유하는 다양한 문화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탐색. 이를 통해 국제관계학과 문화사회학 간 융복합 지식을 배양. 담당부서 : 글로벌인재학 전화번호 : 031-379-04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