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hsSub,fnctNo=106 2025 2023 2021 교과목 보기 교과목 리스트 년도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영문) 이수구분 교과목 개요 2025 1 HK274 한국어음운의이해(Korean Phonology) 전공선택 한국어 음운 체계와 음운 현상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익히고, 이를 바탕으로 일상 생활에 나타나는 여러 음운 현상을 분석하고 설명한다. 2025 1 HK276 현대소설탐구(Modern Korean Novels) 전공선택 소설 이론 전반에 관한 이해와 아울러 한국 현대소설에 이를 적용하여 본격적인 소설 분석을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 2025 1 HK277 고전시가탐구 (Korean Classical Poetry) 전공선택 한국 고전시가의 갈래와 대표작품을 검토하여, 고전시가의 형식적 특징과 미적 특질에 대해 이해한다. 2025 2 HK278 한국어문법교육론(Teaching Korean Grammar) 전공선택 한국어 문법론에 대한 기초 지식을 바탕으로 문법 교육의 방법론을 학습하고, 실제 한국어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문법 교육 방법을 모색한다. 2025 2 HK279 현대시탐구(Modern Korean Poetry) 전공선택 시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은유, 상징, 심상, 운율 등의 개념과, 한국 근현대시와 관련한 여러 문제 등을 작품 이해와 더불어 검토하여 독자적으로 시를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 2025 2 HK280 한국문학사탐구1(History of Korean Literature 1) 전공선택 원시 시대에서 근대 이전까지의 한국고전 문학의 흐름을 통시적으로 조망함으로써 한국 고전문학의 전개와 시기별 특징에 대해 탐구한다. 2025 2 HK281 고전작품의이해(Understanding of classical literature) 전공선택 설화, 향가, 고려가요, 고전소설, 시조, 가사 등 고전문학의 갈래를 대표하는 작품을 직접 읽고, 작품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힌다. 2025 2 HK282 한국어문장탐구(Korean Syntax) 전공선택 한국어 통사론의 기초 지식을 함양하고, 한국어의 문장 구성 방식 및 과정과 관련된 이론과 쟁점을 학습한다. 2025 1 HK382 국어국문학현장의이해(Fieldwork of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전공선택 국어국문학 연구의 현장감을 살리고, 한국문학에 대한 넓고 깊은 이해를 꾀하는 답사 활동을 수행한다. 2025 1 HK383 사회언어학론(Sociolinguistics) 전공선택 지역 방언과 사회 방언의 개념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여러 사회적 요인에 따른 언어 변이를 관찰 및 탐구한다. 2025 1 HK384 한국어발음교육론(Teaching Korean Pronunciation) 전공선택 한국어 음성학 및 음운론에 대한 기초적 지식을 익히고, 한국어 발음 교육의 대상과 내용을 학습하며 구체적인 교수 방법을 설계한다. 2025 1 HK385 현대시인탐구(Modern Korean Poets) 전공선택 근대 시문학 시작 시기에서부터 1950년대까지의 주요 한국 시인들의 작품과 생애를 점검함으로써 시인-시 작품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이해한다. 2025 2 HK386 한국어사개론(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전공필수 한국어의 기원과 계통 및 역사에 대하여 음운·형태·통사·어휘 전 분야에 걸쳐 체계적으로 학습한다. 2025 2 HK387 한국어어휘교육론(Teaching Korean Vocabulary) 전공선택 한국어 어휘론에 대한 기초 지식을 익히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어휘 교육의 대상과 내용을 학습하며 구체적인 교수 방법을 설계한다. 2025 2 HK388 현대작가탐구(Modern Korean Writers) 전공선택 근현대 한국문학의 주요 작가와 그 작품을 구체적으로 살핌으로써 작가론적 이해의 방법을 배운다. 2025 2 HK389 고전소설탐구(Classical Korean Novels) 전공선택 한국 고전소설의 기원, 작가, 배경 사상 등과 관련된 문제를 개별 작품과 함께 검토하여 고전소설 전반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2025 2 HK390 한국문학사탐구2(History of Korean Literature 2) 전공선택 19세기 후반에서부터 오늘날에 이르는 한국 근현대문학의 흐름을 통시적으로 조망함으로써 우리 근현대문학의 전개와 특성을 이해한다. 2025 1 HK391 한국신화와판타지문화탐구(Exploring Korean Myths and Fantasy Culture) 전공선택 한국 신화를 통해 신화적 세계관과 사유방식을 검토하고, 이것이 재현된 문화적 양상인 웹툰, 영화, 게임 등을 살펴 문학의 새로운 판도를 읽는 역량을 키운다. 2025 1 HK444 한국어교육과정론(Curriculums for Teaching Korean) 전공선택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을 총괄적으로 규정하는 한국어 교육과정의 원리와 내용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수 학습 상황에 맞는 개별적인 교육과정 구성을 모색한다. 2025 1 HK445 현대산문탐구(Modern Korean Essays) 전공선택 한국 근현대문학이 산출한 에세이, 비평, 교술문 등에서 명문을 찾아 읽어보고 거기에 담긴 정서와 사상을 이해한다. 2025 1 HK446 구비문학탐구(Korean Oral Literature) 전공선택 구비문학의 기초 이론과 구비문학의 실제 작품에 대한 검토를 통해서 기록문학과는 또 다른 구비문학의 세계를 이해한다. 2025 2 HK447 한국어교재론(Textbooks of Teaching Korean Language) 전공선택 한국어 예비 교사로서 한국어 교재의 구성 원리를 이해하고 교재 분석, 평가, 선정 및 개발을 위한 안목과 능력을 기른다. 2025 2 HK448 대조언어학론(Contrastive Linguistics) 전공선택 세계의 다양한 언어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관찰하고 이를 기술하며 그 결과를 한국어 교육 영역에 적용한다. 2025 1 HK450 강의참관실습(Observation & Practice in Teaching Korean Language Class) 전공선택 한국어교육기관에서의 수업을 참관하고 한국어교육의 현황을 이해하며, 모의수업을 통해 한국어 수업을 경험한다. 담당부서 : 한국어문학 전화번호 : 031-379-0460